최근 전기자동차 생산에 관심이 집중되면서 전기자동차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자 핵심 기술인 2차전지에 대한 사람들의
궁금증이 끊임없이 증가하고있다.
그래서 2차전지에 대해 정보를 알아보다보면 꼭 마주하는 단어가 있는데 바로 "양극재"이다.
양극재란?
배터리의 용량과 출력 등을 결정하는 핵심소재로 소재. 생산원가의 40%가량에 달해 배터리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음극재와 분리막, 전해액과 함께 배터리의 4대 소재로 불린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한마디로, 흔히 소형배터리부터 대형 전기차에도 들어가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용량과 평균 전압을 결정하는 하나의 커다란 구성요소 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이러한 양극재는 크게 코발트(Co), 니켈(Ni), 망간(Mn)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기차 배터리에 가장 많이 활용되는 양극재는 NCM(니켈·코발트·망간)이다. 이것은 리튬이온 배터리의 기본형인 LCO(리튬·코발트·옥사이드)에 니켈과 망간을 추가한 양극재로 이때 코발트의 가격이 굉장히 비싸기 때문에 코발트의 비중을 줄이고, 니켈 함량을 높여 만든 것을 하이니켈(high-nickel)이라고 불리우며 이에 대한 선두주자로서는 요즘 주식시장을 뜨겁게 달구고 있는 에코프로비엠이 있다.
최근 대다수의 모든 산업과 정책이 지속가능성을 끊임없이 강조하는 상황에 양극재는 2차전지의 핵심기술이자 2차 전지 재료생산기업들의 강력한 경쟁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나노, 2차전지 전공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극재, 전해액, 분리막이란? (0) | 2023.07.1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