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63)
IT 논문(2D를 3D로)
헤드이동 스케줄링 정리(3) 헤드이동 스케줄링(3) 헤드이동 스케줄링(3) C-SCAN :SCAN 스케줄링에서 변화한 기법으로 전반적으로는 비슷하지만 미리정해진 서비스 방향으로 헤드가 이동할 때에만 큐의 요구들을 처리해준다.한만디로 말하자면 단방향으로만 이동한다는 뜻이다. 특징 : 응답시간의 분산이 매우 작은 기법이며, 응답 시간에 대한 예측성이 매우 높다. C-LOOK:SCAN과 LOOK의 관계처럼 이것또한 만약 헤드이동 방향에 더이상 처리할 요구가 없을 시에 방향을 전환한다. 특징 : 회전지연시간 최적화 기법이다.
헤드이동 스케쥴링 정리(2) 헤드이동 스케줄링 정리(2) 헤드이동 스케줄링 SCAN : 만약 실린더의 처음이 0 마지막이 199라고 설정했을때 SCAN 방식은 현재 큐에 대기중인 요구들 중에서,현재 헤드의 진행 방향(0으로 이동한다 했을때)으로 현재 헤드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요구를 먼저 서비스하고, 마지막 실린더에 도착했을 때에 방향을 전환하는 기법이다 특징 : 대체적으로 단위 시간당 처리량, 평균 응답 시간의면에서 우수하고, 실제 디스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스케줄링 기법의 근간이다. LOOK(엘리베이터 알고리즘) : SCAN 스케줄링 기법과 유사하지만 SCAN기법과는 다르게헤드이동 진행방향 앞쪽에 더이상 처리할 요구가 없을때 알고리즘을 통해 방향을 바꾸는 기법이다. 특징 : SCAN 방식에 비해 헤드이동이 더욱 효율적이고,이동거..
헤드이동 스케쥴링 정리(1) 헤드이동 스케줄링 정리(1) 헤드이동 스케줄링 FCFS : 간단하게 말하여, 그냥 먼저 들어온 디스크 입출력 요구를 먼저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특징 : 매우 공평하고, 디스크 입출력에 대한 부하가 작을 수록 적합하다. *헤드이동 거리 구하기 : 요구를 처리한 순서대로 그 길이를 계산하면 된다.(그림 상에서는 빨간색 줄의 총길이) SSTF : 이것 또한 간단하게 말하면, 현재 큐에 대기중인 요구들중에서 가장 가까운곳 순으로 처리하는 스케줄링을 말한다. 특징: 큐의 요구들을 처리하는 동안 이동거리 극소화평균응답 시간도가 비교적 낮게 유지(단! 부하가 크지 않을 경우)
어셈블리어를 정리해보자! (3) 명령어 정리! ADD예제 : ADD 인자1, 인자2 결과 : 인자1 + 인자2 예시 EAX의 20값이 들어 있다고 했을 때,ADD EAX 20을 실행시키면,총 40값이 나온다. SUB예제 : SUB 인자1, 인자2 결과 : 인자1 - 인자2 예시 EAX의 20값이 들어 있다고 했을 때,SUB EAX 10을 실행시키면,총 10값이 나온다. INC예제 : INC 인자1 결과 : 인자1 + 1 예시 EAX의 20값이 들어 있다고 했을 때,INC EAX 을 실행시키면,총 21값이 나온다. DEC예제 : DEC 인자1 결과 : 인자1 - 1 예시 EAX의 20값이 들어 있다고 했을 때,DEC EAX 을 실행시키면,총 19값이 나온다.
어셈블리어를 정리해보자!(2) 어셈블리어 명령어 정리(2) Push : sp 레지스터를 조작하는 명령어중의 하나이다. 스택에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쓰인다. pop: 이또한 sp 레지스터를 조작하는 명령어중 하나이다.스택에서 데이터를 꺼내는데 쓰인다. MOV 명령어 MOV는 아예 옮기는 것이 아니라 값을 복사하는 것이다. 형식 : MOV[OPER1][OPER2]의미 : OPER2에 있는 내용을 OPER1에 복사한다. LEA 명령어 LEA는 MOV와 헷갈리는 사람들이 많은데 사실은 굉장한 차이점이 있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LEA는 주소값을 옮기는 것이고, MOV는 주소에 있는 값을 옮기는 것이다. 형식 : LEA[OPER1][OPER2]의미 : OPER2에 있는 주소 값을 OPER1에 넣어라 라는 뜻이다.
에셈블리어를 정리해보자!(1) 어셈블리어?? 사전정의 :어셈블리어(영어: assembly language) 또는 어셈블러 언어(assembler language)[1]는 기계어와 일대일 대응이 되는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저급 언어이다. 여기서는 저급언어라는 것을 주목해 봐야한다.일반적으로 어셈블리어와 같은 언어를 저급언어라고 하고, c언어 c++같은 언어들을 고급언어라고 말한다. 그렇다면 이런 저급, 고급언어라는 말의 뜻은 뭘까?바로 사람과 친숙한 언어인지 아니면 기계에 친숙한 언어인지를 구별하는 것이다.어셈블리어의 경우는 후에 나오겠지만 굉장히 컴퓨터와 친숙한 언어이다. 지금 나온 언어들 중에는 정말 0과 1로이루어져 있는 기계어 그 다음 단계라고 볼수있다.반면 C언어와 C++등의 언어 같은 경우는 어셈블리어와비교해 보았을 때 굉장히..
LAYER 7 CTF 문제풀이(Layer's letter, knock knock, Do not touch me!) **사진 자료는 사이트가 막히는 이유로준비하지 못했습니다!먼저 Layer's Letter은 영어로된 암호를 푸는 것이었는데,대문자는 대문자끼리소문자는 소문자끼리 그 알파벳보다 알파벳순서로 7번째 위에 있는 알파벳을 고르는 것이 었습니다. ex) H >> A , I >> B 앞부터 7글자는 맨뒤로 이동해서 계산ex) A >> T, B >> S이렇게 해서 암호를 풀면됩니다.그리고 knock knock는 답이 나와있습니다...그 다음 마지막으로 Do not touch me!를 설명해보자면,먼저 이 문제는 리버싱문제로 일단 이쯤에 브레이크를 걸고(이건 사진자료가 있습니다.)이렇게 아무수나 넣어놓고 끝까지 실행시켜 보았습니다.그랬더니 !! 어셈블리어가 끝나갈 쯤에 이렇게 문자열이하나 등장했습니다. 웬지 수상하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