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63)
두산, 그리고 PFC (전기차 소재) 최근 주식시장을 보면 전기자동차 관련 주가 굉장히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화학연료를 사용하는 자동차의 공급을 국가 차원에서 줄이려고 노력하며, 전기, 수소 등의 친환경적인 연료 사용을 적극적으로 장려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나라에서는 특히 에코프로를 필두로 전기자동차에 빠질 수 없는 2차전지 관련주가 핫한 가운데 바로 이번 주 새롭게 두산이 크게 오르며 많은 사람의 주목을 받았다. 두산이 크게 오른 이유는 PFC 전 세계 누적 수주액이 5000억이 넘었다는 사실을 밝혔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PFC는 무엇이길래 북미, 일본, 유럽 등 전 세계에서 수주가 들어올까? PFC(Patterned Flat Cable, 패턴플렛케이블) 연성동박적층판(FCCL)에 절연 필름을 라미네이팅한 소재로..
음극재, 전해액, 분리막이란? 음극재, 전해액, 분리막 정리 음극재 음극재는 양극재와 함께 2차전지의 주요 구성요소이다. 그 역할은 굉장히 간단한데, 2차전지의 작동 원리에 따라 양극재에서 나온 리튬이온을 저장해 두었다가 외부 회로를 통해 전기를 흐르게 하는 역할을 한다. 배터리가 충전상태일 때 리튬이온은 음극에 존재하며 양극으로 리튬이온이 이동하며 전기가 발생한다. 전해액 리튬이온의 이동을 돕는 매개체이다. 리튬이온은 전해액을 통해서 음극, 양극 사이를 움직인다. 분리막 2차 전지 내의 양극과 음극이 섞이지 않도록 분리시켜준다.
공매도란? 공매도란 일반적으로 주가가 오르면 돈을 버는 주식시장의 원리와 반대로 높은 가격일때 주식을 빌려서 매도한 다음 싼 가격일 때 다시 매수해 주식으로 되갚는 방법을 일컨다. 예를들어서, 1주에 10만원짜리 주식이 있다. 한 공매도 투자자가 이를 고평가되어 있다고 판단해 기존 주식 보유자에게 1주를 빌려서 10만원에 바로 매도한다. (기존 주식 보유자 : -1주, 공매도 투자자 : +10만원) 이 주식이 공매도투자자의 예상대로 떨어져 5만원이 되었다고 했을 때 공매도 투자자는 다시 1주를 5만원에 사들여기존 주식 보유자에게 1주를 다시 되갚는다. 이 과정에서 기존 주식 보유자는 주식의 양이 달라지지 않았지만, 주가의 하락으로 인해 손실을 보고, 공매도 투자자는 10만원에 매도한 주식을 5만원에 사서 갚았으니 ..
에코프로 그리고 쇼트 스퀴즈란? 요즘 주위를 둘러보면 주식을 안하는 사람을 찾기 힘들정도로 사람들에게 주식이란 더이상 소수에게만 열려있는 어려운 재테크보다는 누구나 참여하고 공부해야하는 필수 교양이 된 것 같다. 그 중에서는 요즘이라기엔 몇 개월 전부터 쭉 이어져 아직까지 영향력이 엄청난 한국 주식시장에 큰 화두가 된 종목이 있는데 바로 "에코 프로"이다. 실제 에코프로의 월봉 차트를 보면 다음과 같다. 차트를 보면 알 수 있듯이 2023년 초 23만원 대에 머물던 주당 가격이 현제 110만원 선까지 상승한 모습이다. 그렇다면 에코프로의 상승이유에는 무엇이 있을까? 그 배경에는 2차전지의 주요 요소인 양극재를 대표로 제조하며 에코프로를 모기업으로 삼는 "에코프로비엠"이 하나의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양극재란? 최근 전 세계적으로 많은..
양극재란? 최근 전기자동차 생산에 관심이 집중되면서 전기자동차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자 핵심 기술인 2차전지에 대한 사람들의 궁금증이 끊임없이 증가하고있다. 그래서 2차전지에 대해 정보를 알아보다보면 꼭 마주하는 단어가 있는데 바로 "양극재"이다. 양극재란? 배터리의 용량과 출력 등을 결정하는 핵심소재로 소재. 생산원가의 40%가량에 달해 배터리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음극재와 분리막, 전해액과 함께 배터리의 4대 소재로 불린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한마디로, 흔히 소형배터리부터 대형 전기차에도 들어가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용량과 평균 전압을 결정하는 하나의 커다란 구성요소 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이러한 양극재는 크게 코발트(Co), 니켈(Ni), 망간(Mn)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기차 배터..
객체지향이란 무엇일까? 객체지향에 대하여 평소 C#혹은 JAVA를 접해보거나 공부해봤다면, 객체지향에 대해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그렇다면 객체 지향이란 무엇일까? 먼저 객체라는 말의 의미부터 파악해보자 컴퓨터에서 말하는 객체란? 저장공간에서 할당되어 값을 가지거나 식별자에 의해 참조되는 공간을 의미하며, 변수, 자료 구조, 함수 또는 메소드가 될 수 있다. 라고. 정의 되어있다. (출처: 위키백과) 그렇다면 이 의미를 좀더 단순하게 봐보자 먼저 객체는 자동차라고 볼 수있다. 자동차는 각기 다른 상태와 다른 동작을 가질 수 있다. 객체도 이와 같다. 하나의 class을 정의하면 빨간색의 자동차, 파란색의 자동차, 주행거리가 100km인 자동차, 500km인 자동차등등 무수히 많은 객체를 만들 수 있다. 그렇다면 하나의 객체에는..
python으로 두원 사이의 관계 공식 프로그램 작성하기 두 원 사이의 관계를 알 수 있는 프로그램 오늘은 Python의 Turtle모듈을 이용하여 두 원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주는 프로그램을만들것이다. 먼저 저 프로그램을 만들려면 무엇을 처음에 기획하고, 만들어야 할까? 1. 사용자에게 입력을 받아야한다.2. 좌표평면을 구하고, 원을 그릴수 있어야한다3. 두 원 사이의 관계를 구해야한다.(내부에 있다, 외부에 있다, 겹친다 등) 자 그럼 이제 프로그램을 어떤 방식으로짜야할까?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50515253545556575859606162636465666768import turtleimport matht = turtle...
Python Turtle 명령어 정리 Turtle 명령어를 정리해보자 Turtle 기초 명령어 정리 import turtle-turtle 모듈을 불러옴 turtle.shape('turtle')-아이콘을 turtle로 바꿈 turtle.forward(100)-앞으로 100만큼 전진 turtle.left(90)-왼쪽으로 90만큼 회전 turtle.right(90)-오른쪽으로 90만큼 회전 turtle.backward(100)-뒤로 100만큼 이동 turtle.circle(100)-반지름이 100인 원을 그 자리에서 그린다 turtle.pencolor('blue')-펜 색깔을 파란색으로 바꾼다. turtle.penup()-펜을 드는 명령어로 이동할 때 선이 그어지지 않는다. turtle.pendown()-펜을 다시 내려놓는다 turtle.pens..